메뉴 건너뛰기

close

리 밀러의 종군기자 활동을 다룬 영화 ‘Lee’의 한 장면
 리 밀러의 종군기자 활동을 다룬 영화 ‘Lee’의 한 장면
ⓒ 스카이 시네마

관련사진보기


보는 여자

초현실주의 영화의 고전인 루이스 부뉴엘의 '안달루시아의 개' 초반부에는 여성의 눈을 면도칼로 자르는 유명한 장면이 있다. 남성들이 써내려간 역사에서 여성은 보는 주체가 아닌 대상이 된다. 소외된 '보는 여성'들은 꾸준히 각자의 붓을 들고 싸웠다. 카메라의 시대에도 마찬가지다. 카메라를 든 여자들은 화가들이 그러했듯이 눈을 도려내려는 힘과 싸워야 했다.

카메라를 든 많은 여성들 중에는 리 밀러Lee Miller, 1907~1977가 있다. 그의 이력에는 늘 '보그 모델',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뮤즈'가 따라다닌다. 피카소 그림 속에서, 만 레이의 사진 속에서, 롤랜드 펜로즈 그림 속에서, 장 콕토의 영화 속에서 리 밀러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리 밀러는 카메라 앞이 아니라 카메라 뒤에 있었던 시간이 더 길다. 피사체가 아닌, 직접 보는 여성으로 바라보자.

밀러는 1907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취미로 사진을 찍던 사람이라 밀러는 카메라와 친숙했다. 미술을 공부하러 파리로 떠났다가 〈보그〉의 모델로 활동했다. 1929년, 만 레이를 찾아가 사진을 배우면서 그의 모델이 되었고, 협업자이며 연인으로 발전했다. 리 밀러는 만 레이와 함께 새로운 사진 기법을 만들어 그들이 참여했던 초현실주의 예술 운동과 잘 부합하는 사진들을 발표했다. 3년 정도 만 레이와 활발하게 활동했던 밀러는 1932년 그를 떠난다. 공동 제작한 작품의 명의와 관련하여 만 레이와 다툼을 벌이던 중 만 레이가 면도기로 밀러의 사진을 그은 것으로 알려졌다. 밀러는 뉴욕으로 돌아가 스튜디오를 만들어 사진 작업을 계속했다. 그해 뉴욕 줄리앙 레비 갤러리에서 티나 모도티, 라즐로 모흘리 나기, 세실 비튼 그리고 만 레이 등과 전시회에 참여했다. 다음 해인 1933년에는 같은 갤러리에서 리 밀러의 개인전이 열렸다.

이집트에서 잠시 결혼생활을 했던 그는 다시 유럽으로 돌아와 영국인 화가이자 시인인 롤랜드 펜로즈와 영국에서 살기 시작했다. 밀러는 패션 사진과 유명한 작가들의 초상을 찍었고 이집트에 거주할 때 사막 풍경을 찍는 등 여러 종류의 사진 작업을 했지만 가장 두드러진 활동은 전쟁 사진을 남겼다는 점이다. 수용소, 폐허가 된 도시, 부상자들, 이름 모를 사망자들, 그리고 전쟁에 참여한 여성들 등 그의 카메라에는 전쟁이 남긴 흉터가 가득 담겼다.
 
2차 세계대전에 종군기자로 활동한 리 밀러. 1943년 촬영
 2차 세계대전에 종군기자로 활동한 리 밀러. 1943년 촬영
ⓒ 위키미디어커먼스

관련사진보기

 
전쟁을 보는 눈

밀러는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보그〉 소속으로 종군기자 활동을 시작했다. 프랑스에서 심한 폭격을 받았던 노르망디와 전투가 치열했던 알자스 지방을 돌아다녔고, 프랑스가 나치에 해방되는 순간도 기록했다. 1944년 독일에서는 부켄발트 강제 수용소 사진을 찍었다. 특히 전쟁 막바지 물속에서 떠오른 시체를 찍은 사진이 매우 인상적이다. 1945년 4월 독일 다하우에 들어갔을 때 그는 막 해방된 다하우 강제 수용소를 찍었고, 히틀러가 떠난 아파트에 들어가 히틀러가 사용했던 욕실에서 목욕하는 제 모습을 사진으로 남겼다.

그의 수많은 전쟁 사진을 통해 여성의 눈으로 기록한 전쟁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밀러의 사진에는 간호사와 비행기 조종사 등으로 전쟁에 참여한 여성뿐 아니라 무너진 건물 잔해 곁에서 음식을 만드는 독일 여성 등 일반 시민들의 모습도 담겨있다. 밀러는 전쟁 중에 〈라이프〉지의 특파원으로 왔던 세 살 연상의 마가렛 버크화이트를 만났고 두 사람은 친구가 되었다. 두 사람이 같은 장소에서 찍은 다른 사진도 존재한다.

밀러는 전장을 누비며 사진을 찍을 때 자신이 카메라에 담고 싶은 게 무엇이었는지 알게 되었다. 전쟁 후에도 폐허가 된 도시나 나치 협력자를 재판하는 현장 등을 찾아다녔다. 그러나 전쟁의 참상을 가까이에서 목격한 후유증은 가볍지 않았고 그는 한동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시달렸다. 술과 담배에 의존했다. 전처럼 왕성하게 사진을 찍기는 힘들었다. 자살 충동에 시달리던 밀러는 요리의 세계에서 자신을 찾았다. 밀러의 집에는 유명한 예술가들이 모여들었고 밀러는 그들을 위한 요리를 했다. 젊은 시절 사진에 쏟았던 열정을 요리에 집중하며 보냈다. 그의 요리에 대한 이야기는 훗날 책으로 출간되었다.

리 밀러는 자신이 젊은 시절 목숨을 걸고 찍었던 사진들을 적극적으로 알리진 않았다. 당시 초현실주의 전시 기획자, 연구자, 수집가로 활발히 활동한 남편 펜로즈는 영국에서 작위까지 받는 등 크게 성공했지만 정작 아내인 밀러의 창작 활동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밀러가 1977년 사망한 후 아들 앤소니가 다락방에서 6만 장의 사진과 인화되지 않은 필름을 비롯해 각종 자료를 발견했다. 앤소니에게 사진을 가르친 사람도 어머니인 리 밀러였다. 앤소니는 어머니 밀러의 작품 아카이브를 만들었고, 리 밀러의 전쟁 사진들을 편집해서 출간했으며 그에 대한 전기를 썼다. 오늘날 리 밀러는 게르다 타로, 마가릿 히긴스, 마가릿 버크화이트와 함께 대표적인 여성 종군사진작가로 기억된다.
 
카메라를 든 여자들은 화가들이 그러했듯이 눈을 도려내려는 힘과 싸워야 했다.

덧붙이는 글 | 글 이라영 예술사회학 연구자. 이 글은 참여연대 소식지 <월간참여사회> 2024년 6월호에 실립니다. 참여연대 회원가입 02-723-4251


태그:#페미니즘, #미술관, #리밀러, #종군기자, #사진작가
댓글

참여연대가 1995년부터 발행한 시민사회 정론지입니다. 올바른 시민사회 여론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
코인 익스체인지 | rndm 幣 新聞 | floyx 코인 분석 | pyo 幣 錢包 | 일본 여행 재개 | cf 幣 未來 | x0 코인 역사 | lunc 코인 전망 2029 2030 | rain 幣 未來 | binance metamask guide | chmb 幣 風險 | plsb 코인 거래 방법 | binance solana price | 붕괴3 pc판 | fdc 幣 未來 | 동네식당 아줌마 | hyundai robotics | self 幣 怎麼買 | ptgc 幣 前景 | 갤럭시 화면공유 | fitt 幣 交易所 | nate | 아침메뉴 | system interrupts 점유율 | fun 코인 전망 2023 2024 2025 | 4월 멜론 | cohm 코인 전망 2023 2025 2030 | physics 코인 역사 | 리플코인 나무위키 | 스탠드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