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국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이 내성처을 찾아 "강은 흘러야 한다"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전국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이 내성처을 찾아 "강은 흘러야 한다"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내성천 하류 국가하천 구간의 대대적인 준설공사 소식이 막 들려온 지난 14일 (중앙) 환경운동연합와 서울을 비롯 광주·울산 등 전국 환경운동연합의 신입활동가들이 현장 수련회의 일환으로 새만금, 금강 농성장, 경주 월성원전 등을 찾아 현장 교육을 한 데 이어 마지막 4대강사업의 현장인 내성천을 찾았다.

우리나라 강이 산간계곡을 빼면 주로 모래강이고 그 모래강 원형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는 강이 내성천이다. 그런 내성천에서 마지막 4대강사업의 일환으로 영주댐이 들어서고, 그로 인해 내성천이 또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를 두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현장을 찾은 것이다.

눈으로 확인한 심각한 변화

영주댐으로 인해 일어난 내성천의 변화는 실로 크다. 영주댐으로 인해서 상류에서 모래와 물이 끊어진 내성천에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육화(陸化)다. 새로운 모래와 물이 계속 공급돼 뒤덮어줘야 원래 모습이 유지되는 내성천의 특성상 그 물과 특히 모래가 끊어지자 새로운 모래가 뒤덮어주지 않으니 있던 모래는 하류로 쓸려내려가고 점점 거친 모래가 남은 그 자리에 들어선 것은 식생, 즉 풀과 나무였다.

풀과 버드나무가 그 순간을 빠고들어 빠르게 번져나간 것이다. 넓은 모래톱이 달뿌리풀과 버드나무로 순식간에 뒤덮이기 시작했다. 이른바 육상화(육화) 현상이 빠르게 번져가면서 깨끗한 모래톱을 자랑하던 내성천의 진면목은 빠르게 상실됐다. 이것이 영주댐으로 인한 내성천의 가장 심각한 변화다.
 
국가명승 회룡포에 나타는 심각한 육화 현상. 영주댐 이후 나타난 회룡포의 기막힌 변화다.
 국가명승 회룡포에 나타는 심각한 육화 현상. 영주댐 이후 나타난 회룡포의 기막힌 변화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유명한 물돌이마을 회룡포나 무섬마을에서도 육화 현상은 그대로 재현됐고, 이를 보다 못한 마을주민과 지자체에서 문화재청의 예산 등을 받아서 트렉터를 동원해서 풀밭이 된 모래톱을 주기적으로 밀어서 그나마 현재의 모래톱을 겨우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내성천의 거의 맨 하류에 위치한 회룡포마저 심각한 육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내성천 전 구간에서 육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내성천 원형의 심각한 퇴행이 일어난 것이다.

영주댐으로 인한 또다른 심각한 변화는 수질의 악화다. 연중 1급수의 강물이 흘렀던 내성천이 영주댐으로 5~6급수로 전락해버렸다. 원래 영주댐 건설의 목적은 하류 낙동강의 수질개선이다. 수질개선용 댐으로 전국에서 처음 지어진 댐이 영주댐인데 영주댐을 짓고 물을 가두니 영주댐에 심각한 녹조가 발생했다. 
  
영주댐의 심각한 녹조 현상. 이런 물로 낙동강 수질 개선은 요원하다. 따라서 낙동강 수질개선용으로 탄생한 영주댐은 무용지물 댐으로 전락했다. 영주댐 해체하고 내성천을 되살리자는 주장이 나오는 배경이다.
 영주댐의 심각한 녹조 현상. 이런 물로 낙동강 수질 개선은 요원하다. 따라서 낙동강 수질개선용으로 탄생한 영주댐은 무용지물 댐으로 전락했다. 영주댐 해체하고 내성천을 되살리자는 주장이 나오는 배경이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청산가리 6000배가 넘는 독이 든 녹조가 창궐해버렸다. 이런 물로 낙동강 수질을 개선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영주댐은 사실상 목적을 상실해버린 유령댐이 돼버렸다.

내성천에 찾아온 새로운 위기... 대대적 준설공사

이런 상황에서 지난 여름 장마철에 발생한 회룡포마을 수해를 핑계로 윤석열 정부 환경부는 내성천 하류 준설공사를 예고하고 있다. 준설공사뿐 아니라 국가명승지인 회룡포에 제방 건설까지 예고하고 있어 우리 강의 원형을 간직한 내성천의 모습이 사라질 것이란 비판이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터져나오고 있다.

이는 '내성천 하류권역 하천기본계획'이라는 이름의 현재 진행중인 전략환경영향평가 상에 명시된 내용으로 내성천 맨 하류에서 대대적인 준설공사를 해버리면 상류의 모래는 더 빠져 하류로 내려올 수밖에 없다. 기존 모래톱은 가뜩이나 모래 입자가 거칠어졌는데 더욱 거친 입자의 모래톱으로 만들어 육화 현상을 더 부추기고 말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전국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 내성천 물길을 걸으며 내성천을 온몸으로 체험한다.
 전국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 내성천 물길을 걸으며 내성천을 온몸으로 체험한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 내성천 물길을 걸으며 내성천을 온몸으로 체험한다.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 내성천 물길을 걸으며 내성천을 온몸으로 체험한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이런 상황에서 전국 환경운동연합 신입 활동가들이 내성천을 찾아 영주댐 건설 이후 내성천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각한 변화에 더해 내성천 생태계와 원형의 모습을 더욱 악화시킬 준설공사 소식까지 듣고 함께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들은 영주댐 직하류의 유명한 전통마을이자 민속문화제 마을인 무섬마을을 찾자마자 바로 내성천에 들어가 물길을 거슬러 오르는 내성천 물길 걷기를 통해서 살아있는 내성천의 모습의 일단을 특정 구간에서 온몸으로 체험해 본 후 영주댐 현장을 바로 찾았다.

거기서 내성천 물길 걷기를 할 때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의 내성천을 만나고서야 내성천에서 일어난 변화를 실감하게 됐다. 이곳에서 영주댐으로 인한 내성천의 심각한 변화상을 필자에게 듣고 활동가들답게 즉석해서 퍼포먼스를 펼쳤다.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이 영주댐 물문화관 전망대에서 영주댐을 내려다보면서 펴폼먼스를 펼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이 영주댐 물문화관 전망대에서 영주댐을 내려다보면서 펴폼먼스를 펼치고 있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내성천 준설 필요 없다, 영주댐 해체하라!"
"영주댐 해체하라, 강은 흘러야 한다!"


이같은 구호를 함께 외치면서 이날의 현장 교육을 마무리했다. 현장 교육을 마무리하면서 이날 함께 체험해본 내성천의 모습을 통해서 앞으로의 강 운동의 미래를 전망하기도 했다. 또한 수도 서울의 한강 퇴행의 역사가 전국 하천의 원형을 심각하게 앗아가고 있다는 사실에 깊이 공감하고는 한강의 변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 내성천 준설 필요없다, 영주댐 해체하라!
ⓒ 정수근

관련영상보기

   
한강을 내성천처럼!... 한강이 변해야 전국의 강이 산다

먼저 광주환경운동연합에서 한 활동가는 다음과 같은 각오를 남겼다.

"오랜만이 아니라 처음으로 하천을 걸어서 되게 신기한 경험이었다. 어렸을 때는 개울 같은 데서 많이 놀고 그랬는데 그런 것들이 어렸을 때 생태 감수성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됐던 것 같다. 그런 것들이 여기까지 오게 된 밑바탕이 되지 않았나 싶어서 광주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생태 감수성 프로그램을 하고 싶다. 어떻게 시작해야 될지를 좀 고민해 보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중앙 환경운동연합 미디어홍보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른 활동가는 구체적인 경험으로서의 한강의 변화를 말했다.

"서울에서 나고 자랐다. 그래서 사실 다른 데 갔다가 서울로 들어올 때 '집에 왔구나'라고 느낌을 한강을 보면서 받곤 했따. 강은 항상 물이 꽉 차 있고 흐름이 느껴진다기보다는 바다처럼 그런 강이었던 것 같다. 그런데 원래 강은 그런 게 아니라는 것을 이곳 내성천처럼 자연성이 남아 있는 강을 보면서 느끼게 됐다. 이런 강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됐다."
 
환경운동연합 둘 활동가들이 내성천 강물에 온몸을 맡기고 있다. 마치 두 마리의 물고기가 된 것 같다.
 환경운동연합 둘 활동가들이 내성천 강물에 온몸을 맡기고 있다. 마치 두 마리의 물고기가 된 것 같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창립을 준비중인 가평구리남양주양평환경운동연합에서 온 김정훈 활동가도 다음과 같은 소감을 남겼다.

"참 물은 사람을 기분 좋게 하는 것 같다. 그래서 오랜만에 강에 몸을 담갔더니 기분이 상당히 좋았다. 그래서 그 느낌을 우리 아이들한테 물려줘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 지금 아이들은 우리가 어릴 적에 느꼈던 그런 것들도 못 느끼고 있다. 이제 우리 미래 세대 친구들이 이런 경험을 하면서 살 수 있도록 만들어야겠다 생각한다."
 
무섬마을의 명물 외나무다리 위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
 무섬마을의 명물 외나무다리 위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환경운동연합 신입활동가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서울환경운동연합에서 온 활동가는 우리 강의 미래를 위해서 한강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희망했다.

"한강을 얘기를 하면은 예전에는 한강의 모습이 모래사장도 있고, 사람들이 거기서 피서도 하고 그랬었다고 한다. 근데 이제 개발 등의 명목으로 한강을 싹 정리를 한다면서 그거를 완전히 망쳐버린 것이다. 그래서 오늘 이렇게 강에 들어가서 몸도 담그고 거기 사는 생물들도 또 보고 하니까 우리가 발전이랑 개발이라는 그런 좋은 명목 아래에 무엇을 잃고 빼앗기는지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게 됐다.

그리고 한강이 다시 옛날의 모습을 찾아서 시민들도 강을 체험하는, 한강에 실제로 들어가 몸도 담가볼 수 있고 안에 사는 생물들도 보면서 강을 느낄 수 있는 그런 강이 다시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모래 속의 재첩을 찾아라. 인간과 야생이 함께 공존하면서 함께 살자 그러기 위해선 강은 흘러야 한다.
 모래 속의 재첩을 찾아라. 인간과 야생이 함께 공존하면서 함께 살자 그러기 위해선 강은 흘러야 한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기자는 대구환경운동연합 활동가입니다.


태그:#내성천, #영주댐, #녹조, #무섬마을, #환경운동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은 깎이지 않아야 하고, 강은 흘러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의 공존의 모색합니다. 생태주의 인문교양 잡지 녹색평론을 거쳐 '앞산꼭지'와 '낙동강을 생각하는 대구 사람들'을 거쳐 현재는 대구환경운동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
n 코인 가이드 | 수주잔고 | 웹툰 명인 | att 코인 예측 | gfly 코인 가격 역사 | ice 幣 是什麼 | 모바코인 | chicks 코인 거래 방법 | 이동형 tv | 코인용어 | binance limits | bristol myers squibb stock | wallstreetbets | 앤해서웨이 가슴 | bay 幣 價格 | binance reward voucher code 2022 | ai 챗 gpt | terra world | 서울 테마파크 | 애브비 주가 | 올리브영 세일 2023 | newr | google lambda | 사가스 럭 공략 | nowai 코인 시가총액 | 성폭행 뜻 | 비키니 커플 | 57년생 닭띠 나이 | doge 1sat 코인 개인지갑 | freesca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