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대부분의 남자들은 병역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군에 입대해야 할 시기가 가까워오면 크고 작은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데 이는 KBO리그 선수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야구선수들은 1년 6개월의 군생활을 하면 최대 두 시즌 정도의 공백이 생기기 때문에 입대하는 발걸음이 더욱 무거워진다.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처럼 병역혜택이 걸려 있는 시즌이 되면 군미필 선수들의 성적이 올라가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하지만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에 출전할 기회를 놓친 선수들에게도 실전감각을 유지하면서 병역의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국군체육부대의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는 것이다. 지난 2019년 또 하나의 군경 야구단이었던 경찰 야구단이 해체되면서 71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상무 야구단은 선수들이 병역의무를 수행하면서 퓨처스리그에 참가해 실전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가 됐다.

10일에도 KBO리그에 속해 있던 15명의 선수가 군에 입대했다. 이들은 논산훈련소에서 5주간 기초 군사훈련을 받은 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합류해 군복무와 퓨처스리그 참가를 병행하게 된다. 특히 이번 입대 명단에는 1군에서 의미 있는 실적을 올린 선수들도 대거 포함돼 있어 야구팬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과연 이들은 상무에서 기량을 갈고 닦아 오는 2026 시즌 더욱 훌륭한 선수로 소속팀에 복귀할 수 있을까. 

상무에서 야구에 눈을 뜬 선수들

물론 서건창과 박찬호(이상 KIA 타이거즈), 채은성, 김태연(이상 한화 이글스)처럼 현역으로 군복무를 마친 선수들 중에서도 전역 후 스타로 성장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군부대는 야구를 할 수 있는 장비와 시설, 연습 파트너 등이 턱없이 부족하고 기껏해야 개인훈련 정도 밖에 소화할 수 없다. 반면에 상무에서는 퓨처스리그에 참여하며 꾸준히 경기감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무 출신 스타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현재 KBO리그에서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 중에서 상무 출신으로 가장 성공한 선수는 삼성 라이온즈의 간판타자 구자욱을 꼽을 수 있다. 2012년 삼성에 입단해 루키 시즌을 보내고 곧바로 상무에 입단한 구자욱은 2014년 퓨처스 남부리그 타격 1위에 올랐다. 전역 후 2015년부터 삼성의 주전자리를 차지한 구자욱은 지난 2022년 2월 삼성과 5년 120억 원의 비FA 다년계약을 체결했고 10일 현재 통산타율 .315를 기록하고 있다.

상무에서는 좋은 포수들도 많이 배출했다. 실제로 이지영과 김민식(이상 SSG 랜더스), 박동원(LG 트윈스), 유강남(롯데 자이언츠), 박세혁(NC 다이노스) 등은 상무에서 기량을 키운 후 소속팀으로 돌아가 주전포수로 활약했다. 내야수 중에서는 김재호와 양석환(이상 두산 베어스), 노진혁, 나승엽(롯데), 박성한(SSG), 송성문(키움 히어로즈), 천성호(kt 위즈) 등이 상무 전역 후 소속팀으로 돌아가 주전자리를 차지했다.

지금은 KBS N 스포츠의 야구해설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는 '느림의 미학' 유희관은 상무에서 군복무를 마친 후 두산의 선발 자리를 차지해 은퇴할 때까지 통산 101승을 따냈다. 또한 2022년 5승 4패 3세이브 30홀드 평균자책점 1.90을 기록하며 리그 정상급 셋업맨으로 활약한 김민수(kt)와 올 시즌 28경기에 등판해 1승 1패 1세이브 4홀드 4.18로 알토란 같은 활약을 해주고 있는 좌완 김유영(LG) 역시 상무에서 성장한 대표적인 투수들이다.

물론 상무를 다녀온 선수들이 모두 스타로 성장한 것은 아니다. 입단 초기 히어로즈의 차세대 에이스로 주목 받았던 고원준은 롯데를 거쳐 상무에서 군복무를 마친 후 2016년 트레이드로 두산 유니폼을 입었다. 하지만 두산에서 고작 1승 밖에 추가하지 못하고 2017 시즌이 끝난 후 현역 생활을 마감했다. 상무 입대 전까지 7년 동안 51세이브 61홀드를 기록했던 사이드암 심창민(NC) 역시 전역 후 4년 동안 세이브 없이 19홀드를 추가하는 데 그쳤다.

각 구단 핵심선수 및 유망주들 대거 입대
 
 풀타임 마무리 투수에 처음 도전하는 키움 김재웅

풀타임 마무리 투수에 처음 도전하는 키움 김재웅 ⓒ 키움히어로즈

 
10일 상무에 입대한 선수들 중에서 가장 최근까지 1군에서 활약했던 선수는 키움의 좌완 김재웅이다. 2019년 키움에 입단해 2021년 51경기에 등판하며 1군에서 두각을 나타낸 김재웅은 2022년 65경기에서 3승 2패 13세이브 27홀드 2.01을 기록하면서 키움의 한국시리즈 준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023년에도 67경기에서 18홀드를 기록한 김재웅은 올해 26경기에서 7홀드 3.42의 꾸준한 성적을 올리다가 지난 3일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됐다.

입단 당시 '리틀 이대호'로 많은 주목을 받았던 롯데의 거포 유망주 한동희는 끝내 잠재력을 폭발시키지 못하고 상무에 입단해 재도약을 노린다. 입단 3년 차였던 2020년 17홈런을 때려내며 가능성을 보인 한동희는 2022년 생애 첫 3할 타율(.307)을 기록하며 꽃을 피우는 듯했지만 2023년 타율 .223 5홈런 32타점으로 추락을 경험했다. 한동희는 올해도 입대 전까지 14경기에서 타율 .257 무홈런 3타점으로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김범석이라는 새로운 거포 유망주가 등장하기 전까지 LG가 가장 기대하는 우타 거포 유망주였던 '잠실 빅보이' 이재원 역시 상무에 입대했다. 이재원은 2022년 85경기에서 13홈런을 터트리며 주목을 받았고 2023년 입대를 연기하면서 팀에 잔류했지만 57경기에서 4홈런에 그치며 LG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 이재원은 올 시즌에도 개막 엔트리에 포함됐지만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고 4일 만에 퓨처스리그로 내려갔다.

2022년 JTBC 야구 예능프로그램 <최강야구>에 출연하면서 이름을 알렸던 포수 윤준호(두산)와 내야수 류현인(kt)도 10일 나란히 상무에 입대했다. 윤준호와 류현인 모두 프로 입단 후 1군 출전 경기가 각각 3경기와 17경기에 불과한 만큼 새로운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이 두 선수의 성장에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 밖에 지난 2일 키움전에서 프로 데뷔 첫 승을 따낸 SSG의 좌완 이기순도 첫 승을 기록한 지 8일 만에 군에 입대하게 됐다.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
KBO리그 상무야구단 김재웅 한동희 이재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
ida pro | ntvrk 코인 달러 시세 | 백석문대학교 | 로지텍 무선 키보드 | binance academy metamask | sqr 幣 前景 | stopelon 코인 달러 | cell 幣 怎麼買 | 대체유 | vpn 위험 | kasta 幣 交易所 | huobi complaints | clh 幣 交易所 | nvda earnings date | 펩시콜라 | creal 幣 新聞 | 아반떼ad 와이퍼 사이즈 | clevusd 코인 차트 | saijo ruri | umad 코인 주가 | you 코인 초기 구매 방법 | pepeai 幣 怎麼買 | line point 使用 | how to withdraw eth from binance | 스위스 옷 | top 코인 초기 구매 방법 | 앤해서웨이 가슴 | scam 코인 예측 | 아이폰 터치안될때 | 햇살론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