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정호 수의사.
 김정호 수의사.
ⓒ 충북인뉴스

관련사진보기


다소 낯선 어감의 '생츄어리'.

다큐멘터리 독립영화 '생츄어리'가 12일 개봉한다. 생츄어리는 부상을 당하거나, 학대에 노출되거나 또는 어미를 잃은 동물을 구조해서 평생 보호하는 곳을 말한다.

영화 '생츄어리'의 전반적인 흐름은 동물복지라고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화가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말은 '인간과 동물의 공존'이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동물원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 영화엔 동물보호 활동가, 의료진, 연구진들이 출연해 동물권, 신념, 갈등, 실질적인 조건의 문제를 다룬다. 그 한 가운데에 청주동물원 김정호 수의사가 있다. 김정호 수의사를 만나 영화에서 미처 보여주지 못한 이야기, 나아가 우리사회에서 동물원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존재해야 하는지, 동물원의 방향성에 대해 들어봤다.

"왜 동물원에서 태어나고 죽어야 하는가"

김정호씨는 수의사다. 20여 년 동안 청주동물원에서 수 많은 동물들을 치료했고, 그의 손을 거쳐 새 생명을 얻은 동물은 수없이 많다. 매 순간 보람과 뿌듯함도 있었다. 하지만 그 이면엔 함구할 수밖에 없는 질문들도 있었다.

'이 동물들은 왜 자연을 떠나 평생 동물원에 갇혀 살다 병을 얻고 동물원에서 죽어가야 하는가?'
'인간의 유희를 위해 동물들이 좁은 동물원에서 태어나 병을 얻고 죽는 것이 과연 맞는 것일까?'


그의 머릿속에서는 항상 이 질문이 맴돌았고, 지난 20여 년간 이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이제 답을 해야 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답이 바로 독립영화 '생츄어리'에 있다고 전한다.
 
'생츄어리'의 한 장면.
 '생츄어리'의 한 장면.
ⓒ 시네마 달

관련사진보기


"한국에는 생츄어리가 한 군데도 없다"

'생츄어리'는 2018년 개봉된 왕민철 감독의 다규멘터리 '동물,원'의 후속작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동물,원'은 야생동물이지만 실제 야생으로 방사되면 살아남을 가능성이 거의 없는 동물들과 수의사, 사육사의 관계를 세밀하게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동물원에서 태어나고 사라지는 동물의 모습을 통해 '과연 동물원이 왜 필요한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생츄어리'는 '동물,원'에 이어 이 질문에 대해 더욱 본격적으로 묻고 답을 한다.

"생츄어리가 한국에는 단 한 군데도 없다는 자막으로 영화는 시작됩니다. 사실 이 문장이 영화를 관통하는 주제입니다. 그리고 청주동물원이 생츄어리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 그동안 수많은 동물보호단체들이 생츄어리 설립을 주장했지만, 아직 우리나라엔 생츄어리가 단 한 곳도 없다. 각 17개 시도에 야생동물구조센터가 한 곳씩 있지만 매년 구조되는 1만 5000여 마리 중 자연으로 돌아가는 동물은 40% 정도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안락사되고 만다. 

"청주동물원이 생츄어리의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영화에선 장애가 있는 동물을 데려와 치료하고 살 수 있도록 돌봐주는 모습, 야생으로 다시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현재 청주동물원엔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된 동물들이 있다. 독수리, 여우, 산양, 오소리, 너구리 등이다. 부상을 얻어 생사를 오가던 동물들이 사람의 도움을 받아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며 그동안 동물원 수의사로서 느껴보지 못했던 감정을 느꼈고 보람도 더 커졌다.

이제 그는 동물원 직원임에도 불구하고 보다 과감하게 동물원 존재에 의문을 제기한다.

"사실 동물원은 과거의 산물이죠. 멀쩡한 애들을 가둬놓는다는 게 윤리적이지 않죠. 이제 동물원을 어떻게 할 거냐라고 했을 때 생츄어리가 방향성이 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그쪽으로 가야 합니다."

그는 동물이 좋고 치료가 좋아 동물원 수의사가 됐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동물원으로 인해 수많은 동물들이 다치고 죽어가는 것을 지켜봐야 했다. 그의 말은 일종의 반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청주동물원이 생츄어리로 거듭나길 바란다. 자연과 단절된 공간에 동물들을 가둬놓고 인간이 구경하는 방식이 아닌, 부상당하고 장애를 가진 동물들도 살아갈 수 있도록 인간이 도와주고 치료하는 공간이 되길 희망한다. 시민들에겐 이 과정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방식이다. 결국 그는 자연과의 단절이 아닌 소통, 인간과 동물의 공존을 희망한다.

"예전에는 사람을 위해서 동물을 희생시켰다면 앞으로는 희생이 아닌 공존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다큐멘터리 생츄어리 스틸 컷.
 다큐멘터리 생츄어리 스틸 컷.
ⓒ 시네마 달

관련사진보기


단절 아닌 소통과 공존의 모습으로 바뀌어야

청주동물원은 요즘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갈비뼈가 드러날 정도로 말랐던 사자 '바람이'를 데려와 조금씩 회복해 가는 과정을 공개하는가 하면 갈 곳 없는 동물들을 데려와 살아갈 수 있도록 보금자리를 내어주었다. 최근에는 동물의 건강검진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다소 파격적인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김정호 수의사는 이러한 과정이 바로 단절이 아닌 소통, 공존의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어린 시절 엄마아빠 손을 잡고 동물원을 찾았던 이후 더 이상 흥미를 느낄 수 없었던 동물원. 오늘 개봉되는 '생츄어리'를 통해 동물원의 모습은 과연 어떠해야 하는지 우리 함께 고민해보자.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북인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생츄어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충북인뉴스는 정통시사 주간지 충청리뷰에서 2004년5월 법인 독립한 Only Internetnewspaper 입니다. 충북인뉴스는 '충북인(人)뉴스' '충북 in 뉴스'의 의미를 가집니다. 충북 언론 최초의 독립법인 인터넷 신문으로서 충북인과 충북지역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정론을 펼 것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
vlk 幣 風險 | momoland nancy 베트남 | eterna | 비트코인 연도별 시세 | 인스타 프로필 링크 | ptools 幣 交易所 | otacon 幣 前景 | does ftx pay interest | trn 幣 挖礦 | ip 해킹 영상 | 온화하다 뜻 | yfih2 幣 走勢 | shiba 幣 錢包 | tbill 코인 전망 2023 2024 2025 | 일본 삼성페이 | pnl 幣 新聞 | liqd 幣 風險 | 꼴리는 남자 | bitget dca | chrp 코인 시가총액 | 연합뉴스tv | beebetやり方 | 야한게이 | 대용량 usb | 테슬라 인도네시아 | 實體比特幣價值 | thing 幣 錢包 | 인증 문자 안올때 | 반포 자이 시세 | 마르스코인 |